적금 5

최대 4.2% 고금리, Welcome 첫거래우대 m정기적금 (웰컴저축은행, 웰컴디지털뱅크)

※ 21년 3월 20일 기준 아직까지 유효한 적금으로 확인 지난 포스트에서 핀크 앱을 통해 5%의 고금리 상품을 소개했더랬다. 단, 해당 조건은 SKT 5만 원 이상 가입자여야만 가능하다는 게 함정. (관련 포스트: 2020.05.30 - [연 4.0% 이상 정기적금] - 최대 금리 5%, T high5 적금 (KDB산업은행) 이것도 21년 3월 기준 유효하다) 오늘은 조건이 어렵지도 않으면서 4.2%의 고금리 달성이 가능한 적금 하나를 소개하고자 한다. Welcome 첫거래우대 m정기적금 저축은행이니까 제2금융권. 그래도 5천만 원 까지는 예금자보호가 되니 걱정하지 말자. 혹시나 본인이 웰컴저축은행에 계좌가 없는데, 최근 4주 내에 신규 은행에 계좌 개설을 한 이력이 있다면,해당 적금은 가입을 할 수가..

최대 5% 고금리, 웰뱅 하자 정기적금 (웰컴저축은행)

지난 포스팅을 통해 4.2% 고금리 적금을 소개한 적이 있다. 참고글: 2020/06/03 - [연 4.0% 이상 정기적금] - 최대 4.2% 고금리, Welcome 첫거래우대 m정기적금 (웰컴저축은행, 웰컴디지털뱅크) 최대 4.2% 고금리, Welcome 첫거래우대 m정기적금 (웰컴저축은행, 웰컴디지털뱅크) 지난 포스트에서 핀크 앱을 통해 5%의 고금리 상품을 소개했더랬다. (SKT 5만 원 이상 가입자여야만 가능하다는 게 함정) 오늘은 조건이 어렵지도 않으면서 4.2%의 고금리 달성이 가능한 적금 하나� howtosavemoney.tistory.com 어쩌면 이미, 저 상품을 가입하면서 눈치 챘을 상품. 바로 최대 연 5% 고금리의 "웰뱅하자 정기적금" 이다.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 상품이고, 5천만원..

내가 포스팅하는 적금 상품에 대하여

자.... 문제 하나 내겠다. 예를 들어, 당신에게 120만원이 있다고 치자. 3.5% 정기 적금(월 납입한도 10만원) 과 2% 정기 예금 둘 중에 하나만 12개월 간 가입해야 한다고 쳤을 때, 어느 상품이 이자가 더 많을까? 난 주식으로 더 많이 불릴 수 있는데... 라는 생각은 하지 말고, 3초 주겠다. 셋, 둘, 하나, 땡, 정답은 2% 정기예금. 정기예금 2%에 상응하는 적금은 금리가 4% 이상이어야 한다. 그리고, 이 포인트가 바로 내가 포스팅하는 적금 상품에 대한 내용의 전부이다. 일반적으로 제1금융권보다 제2금융권의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다. 현 시점, 시중 저축은행 정기 예금 상품의 금리를 보면 최대 2.2% 이다. 그냥 통상적으로 2%로 보자. 제1금융권은? 말도 마라. 그래서 나는 최소..

최대 금리 5%, T high5 적금 (KDB산업은행)

예, 적금 금리가 바닥을 치는 요즘. 특히 1 금융권에서는 2% 이상 예적금은 거의 씨가 말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도 우리에겐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고금리 상품이 보물 처럼 숨어 있다. 지난 포스트에서 핀크 앱을 통해 DGB 은행 고금리 상품을 보았다면... 2020/05/28 - [고금리 적금] - [마감임박, 20.5.31까지] 최대 5% 이율, T-high 5 적금 (대구은행) [마감임박, 20.5.31까지] 최대 5% 이율, T-high 5 적금 (대구은행) 20.5.28 바로 오늘, 뉴스 속보가 떴다. 한은, 기준 금리 0.25% 인하. 기준 금리가 인하되면, 예적금 금리도 같이 떨어진다. 더 떨어지기 전에 가능하면 금리가 높은 상품에 가입해야 한다. 오늘의 상�� howtosavemo..

시작

전, 내일모레면 마흔인, 10년 차 직장인입니다. 취미는 적금, 예금, 펀드 계좌 모으기입니다. 주변 후배들한테 아무리 은행에 좋은 상품이 있다 얘기 한들 귓등으로도 안 듣네요. 계속 얘기해대면 꼰대 소리나 들을까 봐 이 곳에 털어놓습니다. 필요한 어느 누군가는 도움이 될테니까요. 금융권하고는 전혀 상관 없는 사람입니다. 혹시나 오해하실까봐 적어봅니다. 워낙에 얘기하길 좋아하는 사람이라 이 곳에라도 얘기해서 풀어야겠거든요. 쓰면서 저도 공부도 하구요. 자, 그럼 시작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0.05.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