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연금저축, IRP, ISA, ETF 등)/적금대신ETF굴려보기 28

ISA를 이용하여 연금저축, IRP 200% 활용하기

나중에 까먹을까하여 순서도만 일단 적어둔다. 1. ISA에 3천만원 이상 적립 - 3년 만기 시점 - 2. ISA 3천만원을 연금저축으로 이전 2-1. 연금저축 이전 금액인 3천만원 중 10%인 300만원으로 세액공제을 추가로 받는다. 2-2. 2700만원은 세액 공제 처리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추후 인출이 가능하다. - 그 이후 3년 동안 - 3. 연금저축에서 900만원을 인출한 뒤, 이를 연금저축(600)과 IRP(300)에 입금, 세액 공제를 받는다. 각 해마다 900만원이니, 3년이 지나면 2700만원을 처리하게 된다. 4. 그 3년의 기간 동안, isa에는 3천만원 이상의 금액을 모아둔다. 5. 이를 반복한다.

횡보장에서 3배 레버리지 ETF(TQQQ, SOXL, SPXL)가 손실 보는 매우 극단적 예시

3배 레버리지 ETF는 매우 위험한 파생상품이다. 특히 횡보장에서는 그 위험성이 더욱 커진다고 한다. 실제로 최근의 QQQ와 TQQQ의 양상을 보면 그럴만한 가능성도 있다. 레버리지 투자가 횡보장에서 손실을 볼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사람들이 대부분 예로 드는 것이 2% → -2% → 2% → -2% → 2% → -2% → 2% → -2% 를 반복하면 녹아요~ 라고 이야기 하는데 사실 이 케이스는 기본 ETF도 같이 녹는 상황이기 때문에 마음엔 잘 안 와닿을 수 있다. 그래서 좀 극단적으로 가상의 예시를 만들어 보았다. 즉, 10% 하락하고, 그 다음날은 11.11111% 상승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 뭐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은 아니지만, 나는안 좋은 상황은 언제나 극단으로 가정해야 하는 것을 모토로..

[알아두면 좋은 공식] 72의 법칙, 240의 법칙

1. 72의 법칙 - 특정 수익률을 복리 운영 시, 원금이 2배로 불어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구하는 공식 (예: 연8% 수익률로 복리 운영 시 원금이 두배가 되는 시간은 72/8=9 로서 9년이라 대략 구할 수 있다. ) 2. 240의 법칙 - 특정 수익률로 복리 운영 시, 원금이 10배 불어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구하는 공식. (예: 연8% 수익률로 복리 운영 시 원금이 10배가 되는 시간은 240/8=30 으로서 30년이라 대략 구할 수 있다.)

[모의투자] 집단 지성 ETF 한달 결과는?

이전글: 2021.04.12 - [적금대신ETF굴려보기] - [모의투자] 집단지성 ETF를 만들어봤다. [모의투자] 집단지성 ETF를 만들어봤다. 직장인들의 대표 SNS, 블라인드에 아래와 같은 글이 올라왔다. 블라인드 | 주식·투자: 각자 종목 하나씩 추천해봐 (teamblind.com) 주식·투자: 각자 종목 하나씩 추천해봐 각자 포트폴리오중믿고있는 howtosavemoney.tistory.com 딱 한달 전, 블라인드 앱을 통한 집단지성 ETF 개설. 두둥! 이제 만으로 딱 1달 되었다. 블라인드 주식 게시판에서, 본인 스스로 밀고 있는 딱 1종목 추천 받아, 시드 1억으로 총 26개 종목에 대해 동일가중으로 매수. 금액 기준은 종가 기준. 그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5!!!!!! 4!!!!! 3..

해외 MSCI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 비교 (추종지수, 총보수, 총비용)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네셔널(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MSCI)에서는 주식, 채권, 헤지펀드 관련 다양한 지수를 제공하고 있고, 많은 ETF 들이 이 지수를 추종한다. 오늘은 국내 증권사에서 출시한, 해외 MSCI 지수를 추총하는 ETF를 간단히 비교 정리 하였다. 21년4월25일 기준, 12종 출시 되어 있고, 이 ETF들의 관계를 간단히 그림으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MSCI ACWI, World 의 경우, 미국 캐나다가 전세계 주식 시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그게 싫은 경우 EAFE, EM index 추종 ETF를 매수 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겠다. ETF에서 똑같은 선진국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Arirang 의 경우 EAFE라는 점이 특이하다. 또한..

미국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 비교 (총보수, 총비용)

현재 국내 출시된 미국S&P500 지수 추종 ETF는 아래 표와 같다. ETF는 종목명 맨 뒤에 붙는 명칭이 매우 중요한데, (H)는 환헷지형으로 환율 영향을 받지 않으며, TR은 Total Return 으로 분배금을 재투자한다. 선물이라고 붙은 건 현물 지수와 다르니 참고할 것. 아래 보니 3개월 수익률이 2% 정도 차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선물 때문이 아니라 환헷지 차이인듯) 이전 포스트에서도 한번 언급하였는데, 대부분의 ETF가 총보수와 총비용이 다르다. 2021.04.17 - [적금대신ETF굴려보기] - 총보수? 수수료? 아니 총비용 저렴한 해외 지수 추종 ETF는? (S&P500, 나스닥, 유료스탁스50, 차이나항셍테크 등) 총보수? 수수료? 아니 총비용 저렴한 해외 지수 추종 ETF는? (..

주식 투자의 성공 요인은?

주식 투자의 성공 요인은 무엇일까? 탁월한 종목 선정? 기가 막힌 매수, 매도의 타이밍? 운빨?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주제는 이미 누가 다 연구해 두었다. 사실 이건, 논문을 써 본 사람은 다 안다. 내가 논문으로 쓰고 싶었던 주제는 구글 검색해보면, 세상 어느 누군가가 다 해 두었다. (그래서 주제 잡기가 빡세다.) 이에 대해 연구한 논문은 다음과 같다. 원문은 구글 학술 검색을 해보면 제공해 주는 곳이 있다. Brinson, Gary P., L. Randolph Hood, and Gilbert L. Beebower. "Determinants of portfolio performance." Financial Analysts Journal 42.4 (1986): 39-44. Brinson, Gary P...

총보수? 수수료? 아니 총비용 저렴한 해외 지수 추종 ETF는? (S&P500, 나스닥, 유료스탁스50, 차이나항셍테크 등)

최근 주식 열풍에 발맞춰, 국내 증권사에서는 S&P500, 나스닥, 유로스탁 등 해외 지수 추종 ETF 신상품을 쏟아내고 있다. 가입자 유치를 위해 저렴한 총보수를 내세우는 것은 당연한 이치. 사실 지수 추종 ETF는 장기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수수료가 싸면 좋을 순 있으나, 뭐 장단은 있을 수 있겠다. 여튼 모든 투자는 투자자 본인의 판단에 따라 행하면 되겠다. 불붙은 ETF 출혈 경쟁···서비스질 저하 주의 - 팍스넷뉴스 (paxnetnews.com) 불붙은 ETF 출혈 경쟁···서비스질 저하 주의 - 팍스넷뉴스 ETF 시장 선점 경쟁에 한투·삼성·미래·KB 보수 인하 paxnetnews.com 나도 모르는 새 내고 있었네…ETF의 숨어있는 비용 나수지의 쇼미더재테크 | 한경닷컴 (hank..

[모의투자] 집단지성 ETF를 만들어봤다.

직장인들의 대표 SNS, 블라인드에 아래와 같은 글이 올라왔다. 블라인드 | 주식·투자: 각자 종목 하나씩 추천해봐 (teamblind.com)주식·투자: 각자 종목 하나씩 추천해봐각자 포트폴리오중믿고있는 종목 하나씩 공유해보자www.teamblind.com 각자 믿고 있는 종목이라면 다들 근거가 있을 터, 그렇다면, 이 기준으로 ETF를 만들어보면 어떨까? 매우 궁금해졌다. 그래서 모의 투자를 해 보기로 했다. 일명 집단지성ETF. 시드는 1억방식은 동일가중매매 한달 뒤에 어떻게 될까?매우 궁금하다 ㅋㅋ

ISA에 적금 대신 ETF를 굴리려 하였으나...

얼마전 적금 대신 ETF를 굴리겠다고 호언장담하였으나, 적금 넣을만한 여유가 사라졌다. 적금은 됐고, 그동안 연금저축, IRP, 일반 주식 거래 계좌에 모아 놓은 주식들을 재정비하여 은행 예금 같이 활용해 보기로 했다. 나의 1차 목표는 일반 정기 예금 보다 수익률 잘 나오기. 2차 목표는 연 5% 이상 달성하기 포트폴리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주식 - 55.5% - 미국 포함 선진국 (70%) - 인도 포함 신흥국 (20%) - 그외 잡다 (10%) 2) 채권, 예금 - 37% 3) 금 - 7.5% 끝.

[ISA 내맘대로 ETF 적금] 국내 ETF의 최근 1년간 분배금 순위는?

주식에 배당이 있다면, ETF에는 분배금이라는 게 있다.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ETF를 통해 분산투자의 안정성을 추구하면서 보너스인 분배금도 같이 받는다면? 오호. 이거 좋은 방법인데.. ETF 분배금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간편하게, 타 ETF와 함께 비교해볼 수 있는 곳은 증권 정보 포털 세이브로(seibro.or.kr) 이다. 분배금지급현황을 볼 수 있는 링크는 아래에 걸어 두었다. 권리행사정보 > 분배금지급현황 | SEIBro SEIBro seibro.or.kr그래서...최근 1년 간 국내에서 거래 가능한 ETF의 분배금 지급 현황을 조사하여 보았다. 검색 결과를 한번에 다운받을 수 있으면 참 좋을텐데, 그런 기능은 없어 약간의 노가다성으로 처리 해야 하는지라 좀 귀찮긴 했지만..

[ISA 내맘대로 ETF 적금] ISA로 ETF 적금을 만들기로 했다

최근 ISA 제도 변경으로 인해 중계형 ISA 가 새로 생겼다. 몇년전엔 쳐다도 안 보던 거였는데, 이게 완전 꿀일 거 같다. 5년간 돈이 묶일 수는 있으나, 나 같은 장투를 노리는 사람에게는 매우 좋은 절세 상품이 될 수 있다. ISA 란? 정부가 국민 재산 증식을 지원하기 위해 2016년 도입한 ‘금융투자 종합 관리용 통장’이다. 일반 계좌로 거래하면 이자 및 배당소득세 15.4%가 과세되지만 ISA계좌에서는 200만원까지는 비과세, 초과분은 9.9% 과세다. 그리고 일정 기간 투자 손익이 합산된다. 예를 들어, 내가 A라는 상품에서 100만원 손실, B라는 상품에서 100만원 수익이 났다고 가정 하면, 일반 계좌의 경우 B-100만원 수익에 대한 세금이 붙지만, ISA계좌에서는 또이또이로 세금이 안..

금융 자산 포트폴리오를 짠다면?

공부하는 방법을 모를 때, 실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그 학교 전교 일등이 하는 방법을 그대로 따라해본다. 오늘 재밌는 기사가 떴다. https://news.v.daum.net/v/20210301071017269?x_trkm=t국민연금 주식 순매도, 아직 24조 남았다(서울=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 연기금이 국내 증시에서 역대 최장인 42일 연속 순매도 기록을 이어가면서 주가에 부담을 주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민연금이 국내 주식 비중 조정을 위해 24조원 news.v.daum.net 국민연금은 법적으로 각 금융자산별 비중을 맞춰야한다. 올해 상반기까지 국내 주식 24조를 팔아 치워야 한다는 말인데, 게다가 3월 중 공매도 중지가 풀릴 예정인지라, 주가 빠지면 싸게 줍줍할 기회가 올해 널..

적금 대신 ETF, 매주 할 필요가 없는 이유

주식이라는 게 변동성이 큰 상품인지라, 매일 또는 매주 거래하지 않으면 왠지 타이밍을 못 잡는 거 같다는 불안감에 시달린다. 주식이 떨어지면, 물타기를 해야할 거 같고 주식이 오르면, 추격 매수를 해야할 거 같기 때문이다. 근데 불안감에 휩싸일 이유가 없다. 당신이 장기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면 매일 매매를 하던, 일주일 매매를 하던, 한달 매매를 하던 수익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다. 나는 이미 최근 5년 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검증을 마쳤다. 관련 포스트 2020.07.15 - [적금대신ETF굴려보기] - 적금 대신 ETF 굴려보기 (Week 6) - 수익률이 모두 플러스 적금 대신 ETF 굴려보기 (Week 6) - 수익률이 모두 플러스 6주째다. 아니나 다를까,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증시 하락이 ..

적금 대신 ETF, 다시 시작합니다.

작년 8월까지 열심히 쓰다가, 어느 순간 시들해져서 한동안 글을 안 올렸다. 요것이 작년 8월 기준가 인데... 블로그 용으로 모으던 계좌는 그 이후에 한번 정리를 했다. 아마 정리하지 않고, 그대로 들고 있었으면 현재 수익률은 꽤 좋았을 것이다. 작년 8월 당시 평균 4% 정도였는데, 6개월이 지난 지금 최소 30%는 먹었을 것이다. 따라서 작년의 나의 가설은 성립되었다. (적금보다는 ETF!!) 그렇다면, 적금보다는 ETF가 생각보다 안정적이고, 수익도 더 높다고 볼 수 있을까?? 사실..... 2020년 같은 전세계적 불장에서 바보가 아닌 이상 주식에서 돈 못 번 사람은 아마 아무도 없을 것이다. 코스피가 3천을 넘었고, 미국 주식은 거의 매일 전고점을 찍다시피 하고 있다. 가만히 있어도 돈을 버는..

적금 대신 ETF 굴려보기 (Week 10) - OECD 보고서와 코스피

주중에 마이너스인 상품이 몇 개 있어서 추가 구입을 했다. 막상 구입하려 했던 월요일인 어제는 수익률이 모두 양전. 그냥 가만히 있었다. 원금이 2백만원대가 되었다. 현재까지는 다행히도 적금 넣는 거 대비 이자는 좋다. 이번주 말이면 네이버 통장 포인트가 들어올 예정이다. 어떻게 들어오는 지, 현금화는 가능한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OECD에서 코로나 이후 보고서가 발행되었다. 상세 내용은 여기서 보면 된다. www.oecd.org/economic-outlook/ 코로나로 인한 경제 침체는 전세계적인 상황이다. 어쩐지 유럽쪽 펀드가 비실비실 힘을 못 쓰더니 다 이유가 있었다. 인도와 인도네시아는 상위권에 있다. 역시 인도. 그 와중에 한국이 OECD 가입국 중 제일 하락폭이 적은 건 고무적인 일이다. 이..

적금 대신 ETF 굴려보기 (Week 9) - 선진국MSCI, e커머스

매수 시점에 인도네시아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플러스 상태인지라, 추가 상품을 찾아 보았다. 인도네시아 추가 매수 하고, 아래 두 종목도 신규 매수 시작. 1. HANARO e커머스 2. KODEX 선진국MSCI World 이커머스 시장은 아무래도 계속 커질 거 같고. 게다가 네이버랑 카카오 주식 올라가는 걸 봤을 땐 괜찮은 선택인 듯 싶다. 선진국 MSCI의 경우 미국 주식 이외에 세계 우수 기업의 주식을 분할 매수 한다는 '느낌적인 느낌'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 두 상품 모두 펀드 매니저들이 알아서 기업 선택을 해 주니 참 편리하다. 현재 수익률은 다음과 같다. (8/5 기준) 아직까지는 적금보다는 낫다. 근데 나스닥 상승폭이 꽤 무섭다. 일주일만에 3~4%라니....

적금 대신 ETF 굴려보기 (Week 8) - 나스닥도 이젠 플러스

투자금을 매주 15만원에서 5만원 추가 하여, 20만원으로 증량 하였다. 지난 주 금요일 나스닥이 떨어졌고, 그래서 미리 넣는 심정으로 20만원 투여. 이번 주 월요일 나스닥이 또 떨어졌고, 그래서 월급날이니까 다시 20만원 투여. 그리고 어제밤. 그 결과 미국 나스닥도 플러스가 되었다. 분담금은 좀 찾아보았는데 내가 가진 4개 ETF는 분담금이 없거나, 있더라도 매우 적게 주는 펀드이다. 좀 더 찾아보니 많이 주는 것은 4%도 주더라. 네이버 통장 1% 포인트 주는 건 이미 1만원 한도가 다 찼다. 왜 난 6월부터 납입을 시작했는데, 아직도 7월 꺼로 계산되는건지 모르겠다. (추가: 약관을 잘 봐야한다. 첫달만 익월까지 포인트 계산이다. 아무래도 체리피커 또는 먹튀 방지 인듯.)

적금 대신 ETF 굴려보기 (Week 7) - 나스닥에 넣어보자

7주째다. 여전히 이번 주도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증시 하락이 있었고, 기대감으로 인한 증시 상승이 있었다. 과연 증시가 오르고 떨어지는 데 이유가 있을까 싶을 정도다. 현재 투자 중인 3개 ETF는 수익률이 금일 오전 기준으로 모두 플러스 상태였다. 투자 방식을 좀 바꿔서 수익률이 마이너스 일 때만 추가 매수를 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신규로 알아 본 ETF 상품. 바로 Tiger 미국 나스닥 100. 해외 비과세 상품이다. 상품 구성을 보니, 마소, 테슬라, 스벅 등 내가 알만한 회사는 다 여기 들어 있다. 그래 바로 이거다. 최근에 분배금이라는 걸 알게 되었는데, 이 상품은 S&P ETF 와 마찬가지로 매 분기별 분배금이 발생한다. 인도, 인도네시아는 연1회 발생. 분배금 발생하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