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연금저축, IRP, ISA, ETF 등)/노후 대비와 세금 2

노후 대비와 세금: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금융 계획 (2. 국민연금)

1. 국민연금 수령액 현황 파악- 본인의 국민 연금 예정 수령 금액을 알고 싶으면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는 통합연금포털을 통해 확인해보기 바란다. (https://www.fss.or.kr/fss/lifeplan/lifeplanIndex/index.do?menuNo=201101) - 본인 역시 여기서 확인해봤는데.. 확실히 국민연금만으로 살기에는 팍팍함이 느껴진다.- 하지만, 그때 가서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도 미지수.. 2. 수령 나이 기준- 국민연금은 2024년 현재 기준으로 69년 생 이후의 경우 수령 기준은 만 65세이다. - 만약 조기 연금 수령을 하고 싶다면 60세부터 가능, 연기 연금 수령을 하고 싶다면 70세까지 연기(1회에 한해. 최대 5년)가 가능하다. 조기 혹은 연기 연금의 경우 각각의 ..

노후 대비와 세금: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금융 계획 (1. 들어가며)

노후 대비는 많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과제다. 특히 세금은 이러한 계획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최근에 회사에서 진행된 세미나를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노후 대비와 관련된 세금의 기본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았다. (사실 세금이라는 것이 해마다 그 제도가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공부하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1. 소득의 종류- 소득은 크게 자산소득과 평생소득으로 나눌 수 있다. 자산소득: 근로소득, 임대소득, 투자소득 (그리고 사업 소득. 임대+투자소득 = 사업 소득이 되는 경우도 있겠다)평생소득: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2. 노후 자금 준비의 핵심- 은퇴 후 자산소득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30% 이하로 크게 줄어든다. 상대적으로 평생소득이 나의 소득의 70% 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