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이하, IRP)와 연금저축은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시, 세액공제를 받은 원금과 운용수익(매매 차익, 배당 등)에 대해 연 1200만원까지 분리 과세 대상이다.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원금은 비과세이다.
연 1200만원을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된 금액 뿐만 아니라, 개인 연금으로 받은 소득 모두가 종합소득세 대상이 된다. 종합소득세의 세율은 최소 6%에서 최대 45%(지방세 별도)이다. 개인 연금의 연금소득세가 최대 5.5% 인 것을 고려 하였을 때, 연 1200만원 초과는 세금이 불리하다. 따라서 개인 연금 수령액은 연 1200만원을 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럼 여기서, 연 1200만원을 죽을 때까지 아무 걱정 없이 받으려면 개인 연금에 얼마나 모아야 할까에 대한 질문이 나올 수 밖엔 없다.
지금부터는 정말 나의 생각이다. 따라서 참고만 하도록 하자. 혹시나 반론이 있다면 댓글 달아 주시면 매우 감사할 것이다.
나의 경우에는, 세액공제를 받은 원금과 운용수익을 모두 합산한 금액으로, '3억'을 목표 수준으로 잡았다.
근거는 4%의 법칙이다. 4%의 법칙이 논란은 있긴 하지만, 미국 S&P500의 최근 30년간의 CAGR 이 10% 인 것을 고려 하였을 때 아직 유효한 법칙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1200만원의 25배인 3억이 목표 금액이 된다.
The 4% rule, a popular retirement income strategy, may be outdated (cnbc.com)
Experts say the 4% rule, a popular retirement income strategy, is outdated
Average stock and bond returns aren't expected to be as robust in coming decades, and retirees may have to reduce withdrawals from their nest eggs.
www.cnbc.com
그렇다면, 미국 S&P500 을 바탕으로 백테스트를 해 보면 어떨까.
백테스트는 과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래를 보장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궁금하니까..
기간은 1985-2021년이다. (약 35년)
방식은 다음과 같다. 초기 3만달러로 시작하여, 매해 연초에 1200달러를 제한다. 남은 잔고는 모두 재투자한다. 그리고 이를 반복한다.

결과는... 35년동안 원금을 다 쓰지도 못 하였으며, 오히려 40배가 늘어버렸다. (응??????)
그렇다면, 3억은 어떻게 만들 것인가.
15년간 미국 S&P 500에 모두 투자하며, 연 수익률은 10%, 원금과 투자 수익률은 매해 재투자 하는 방식으로 가정한다. 간단히 월 복리로 계산하면 아래 표와 같다. 월납 70~80만원. 대략 때려 잡아도 700만원이다. 700만원은 연말정산에서 IRP와 연금저축으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금액이다.

역시 최근 15년간 S&P500 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백테스트를 해 보았다. 연 700만원씩 입금 및 재투자. 계산 결과 3억8천. 역시나 초과 달성이다.

자 이제, 결론이다.
연말정산에서 세제혜택 받는 수준으로 개인연금을 운용한다고 할지라도 연금 수령 전까지 3억 달성은 충분히 가능한 플랜이다. 필요한 원금은 세액공제를 충분히 활용한 금액으로 모을 수 있고, 가능한 빠르게 원금과 운용수익을 모은다.
이렇게 하면 나는 죽을 때 까지 월 100만원씩 개인연금을 수령받을 수 있다. 내가 죽는다고 할 경우에는 남은 잔금은 배우자가 대신 수령이 가능하다.
끝.
추가. 어쩌면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연금외수령으로 16.5% 원천징수 함이 더 나을지도 모르겠다. 역시나 헷갈린다.
'이런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런닝맨 투자의 귀재 (국내편)을 동일가중으로 투자해보자. (0) | 2022.06.18 |
---|---|
런닝맨 투자의 귀재들 : Go to NY 을 동일가중 방식으로 투자 한다면? (런닝맨 미국주식 투자 특집) (0) | 2022.06.18 |
오늘의 결론. 지수가 최고다. (2) | 2021.03.26 |
퀀트 투자 책을 읽고 느낀 점 (0) | 2021.02.14 |
주식 100만원으로 20억을 만들었어요?! (0) | 2021.02.09 |